이윤기의 ‘멋진하루’를 보고 나서, 문득 원작이 궁금해졌다. 옛 연인에게 빚을 갚으라고 찾아간 여자. 그리고 그 둘이 돈을 받으러 다니는 하루-라는 스토리가 참신하긴 했지만, 돈을 받으러 가는 과정이 조금 반복적이어서 영화는 긴장감이 떨어진 게 사실이다. 과연 그런 부분은 어떻게 표현되었고, 게다가 이 장편 영화의 원작은 단편이라고 해서 그녀의 책을 찾게 되었다.
책은 줄거리 위주로, 영화와 상당히 흡사했다. 영화에서 하정우가 그랬듯 작품 속에서도 도모로의 캐릭터는 무척이나 독특했다. 이것 참 사람이 좋은 걸까, 뭔가 모자란 걸까 싶은 도모로. 그를 둘러싼 알 수 없는 여성들. 반면에 그에게 순순히 돈을 내어주는 여성들. 그들을 보면서 유키에는 자신이 사귀었던 이 남자 도모로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한다. 내가 정말 이 남자를 알았던 것일까, 싶을 정도로.
이 작품의 미덕은 단순히 이 알 수 없는 남자의 캐릭터만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유키에가 보기에는 참 딱해 보이는, 저기서 돈 빌리고 여기 빚을 겨우 막는 도모로의 캐릭터와 삶을 이해할만한 여지를 준다는 것이다. 그에게 선뜻 돈을 빌려주는 여자들의 말에서. 도모로는 그런 사람이라고. 소유의 욕심이 없고, 넉넉할 때 나누고 없을 때 빌리는 것이 어렵지 않은 그런 삶을 사는 사람이라는 것을, 유키에가 새로 알듯이 관객도 도모로를 다시 알게 된다.
다이라 아스코는 독특한 감수성을 지닌 작가다. 이윤기의 최근 작품도 그녀의 단편을 또 한번 원작 삼아 진행되었다고 했다. 실제로 나머지 작품도 이 특유의 감수성이 넘쳐 흘렀다. 루저라서, 또 다른 루저를 위로하는데 머뭇거리는 사람들. 때로는 같은 처지이면서, 나는 아니겠지 자위하는 루저들. 그들 사이에는 묘한 동지감이 흐르고, 그들의 삶 자체가 서로에게 위로를 주는 형국이다. 이것이 변주된 여섯 개의 단편이 모아져 있는데, 묘한 매력이 있다.
특히 <멋진 하루>처럼 낯선 만남을 그려내는 데 익숙한 작가다. 닮았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처자에게 임종이 가까운 아버지의 딸 대역을 부탁하는 이야기 <애드리브 나이트>, 시어머니가 멋있어서 그 가족이 되고 싶어서 그의 아들과 결혼한 쓰키에. 그녀와 남편의 쿨하다못해 무심한 관계가 인상적이던 <해바라기 마트의 가구야 공주>, 학창시절 첫사랑을 만났지만, 무수한 성형수술로 자신을 못알아보는 그 앞에서 쿨한 척 깔깔대는 루이 이야기 <맛있는 물이 숨겨진 곳> 등 만남이 사건의 중요한 계기가 되곤 한다.
뿐만 아니라 <누군가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한 직장부하가 상사에게 고민 상담을 하면서 시작된다. 소노베를 임신시켜서 돈을 쥐어줬다. 참담하게 말하는 직장부하를 위로하는 도모아키. 하지만 그 역시 소노베에게 같은 식으로 돈을 준 상태다. 그런데 순진한 후배 겐타가 그녀를 사랑한다고 도모야키를 찾아왔다. 두 사람을 말리기로 작정한 도모야키.
이 이야기도 처음엔 이상한 사람같기만 한 소노베를 도모야키가 이해하게 되는 순간- 소노베를 찾아가 겐타는 안된다고 말하자, 소노베는 ‘자신도 두렵다며, 자기도 결코 쉬운 여자이고 쉽지 않다는’ 속 마음을 밝히는 순간- 소노베가 다른 사람처럼 보이는 순간이 독자의 감수성을 자극한다. 게다가 그녀를 쉽게 버리는 두 남자와 대조되어, 순정 100%로 등장하는 겐타의 사랑 역시 훈훈함을 더한다. 이 작품은 플롯이 좋다.
어떤 이야기를 다루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가 누군가를 위로하는 이야기. 참 많지만, 일본 소설에서 만나게 되는 이러한 설정은 특유의 분위기가 있다. 이 작품에 한정해서 분석해보자면, 등장인물들은 대게 루저라고 불릴 법한 직업-전화방, 마담 등-을 지니고 있다. 그들은 도덕적인 신념만큼은 확고해서, 가끔 독자로서는 손발이 오그라드는 계몽적 대사를 외치지만, 종종 그것은 상대방 캐릭터를 감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단순히 위로의 말이 아니라 자신들의 신념을 외치는 것이기 때문에 분명 마음을 움직이는 구석이 있다. 좋은 직업군에 속한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루저다. 다들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하지만-<온니유>의 나카하라- 오히려 자신보다 못하다고 생각한 사람들에게 결국 위로를 받는다. 때문에 심리 위주의 서술이 주를 이룬다. 그 점이 독자로 하여금 읽기 쉬우면서 캐릭터에 가깝게 다가가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오물조물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선 1318> (부제: 김태용 감독님 좀 짱인듯..ㄷㄷㄷ) (2) | 2009.10.06 |
---|---|
이제껏 내 인생, 최고의 단편영화를 만나다!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순회상영전 P-! (2) | 2009.09.16 |
내가 만드는 영화 <비카인드 리와인드> (2) | 2009.09.16 |
엄마 뒤에서 느껴지는 섬뜩한 에너지 <마더> (0) | 2009.09.16 |
그녀는 그리고 우리는, 그렇게 계속 살아간다 <밀양> (0) | 2009.09.16 |